진료과목 안과/치과
백내장 수술 클리닉
백내장이란?

백내장은 렌즈나 렌즈낭의 혼탁을 의미하며 이런 혼탁은 세포내 또는 세포외 공포화 및 단백질의 국소침착과 관계가 있습니다. 백내장은 약물로 치료가 되지 않으며 시력의 회복을 위해서는 수술이 필요한 질병입니다. 백내장의 종류로는 선천성 백내장,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달하는 노년성 백내장, 혈당의 농도가 높아져 렌즈섬유의 종창을 일으켜서 백내장이 유발되는 당뇨병성 백내장, 눈의 손상, 주위조직의 염증이나 전신 질환 등에 의한 합병증성/창상성 백내장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백내장 진행 단계 및 치료법

백내장의 진행단계는 초기 (1기) 에는 혼탁이 시작되는 시기로 시력은 정상이며 동물에서는 사람과 달리 일반적으로 수술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미숙기 (2기) 에는 혼탁이 심해지고 시력이 점차 나빠지기 시작합니다. 성숙기 (3기) 에는 수정체 전체가 혼탁하고 시력이 매우 나빠지거나 상실될 수 있으며 망막을 검안경으로 관찰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동물에서는 일반적으로 미숙기 (2기) 또는 성숙기 (3기) 때 백내장 수술이 필요합니다. 과숙기 (4기) 에는 성숙기를 거친 후 경우에 따라 백내장의 액체화 및 위축이 일어날 수 있으며 합병증으로 포도막염, 망막박리, 녹내장, 시력의 비가역적인 상실 (영원한 실명)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과숙기에도 일부 시력회복이 가능한 환자들에서는 수술이 가능하지만 수술의 위험성이나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

녹내장 클리닉
녹내장이란?

눈 속에는 눈 안의 구조물에 영양을 보내기 위하여 방수라고 하는 투명한 액체가 끊임없이 순환하고 있습니다. 방수는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눈이 너무 말랑말랑하게 되거나 너무 단단하게 되지 않도록 정상적인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녹내장이란 안방내의 안방수의 증가나 안방수의 배출이 안되어 안내압의 상승을 나타내는 질병입니다. 녹내장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과 폐쇄각 녹내장 및 어떤 원인에 의한 2차적인 속발성 녹내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녹내장 임상증상

임상증상으로는 안내압의 상승에 따른 동공 산대와 더불어 동공반사의 소실, 결막 및 공막의 맥관계 충혈, 안내압의 증가로 정상적인 각막 형태가 붕괴되어 각막부종이 발생하여 각막 백탁이 발생, 또한 대부분의 경우에는 안구 통증을 나타내며 안내압이 상승하면 2시간에서 며칠 내에 비가역적으로 시력이 상실될 수 있습니다.

녹내장 수술

각막 수술
포도막질환
건조증/유루증
외상/응급
기타